1. 베이컨의 기원과 역사
베이컨은 돼지고기를 소금에 절여 만드는 음식을 의미한다. 우리가 주로 볼 수 있는 것은 우리에게 친숙한 삼겹살 즉 뱃살 부위를 소금에 절인 뒤 훈제한 것들이지만 삼겹살 부위가 아니라 등심 부위를 사용하기도 하는 등 다양한 종류의 베이컨이 있다고 한다. 베이컨의 기원은 3천 년 전 중국까지 올라간다. 중국에서는 염지 된 삼겹살 부분을 먹었고 이 염지 방식이 로마 제국까지 도달하여 서양에 퍼지게 된다. 참고로 영어에 'bring home the bacon'이라는 관용구가 있는데 '~에 성공하다', '밥벌이를 하다'라는 의미다. 이 어구는 12세기 영국의 'Dunmow'라는 도시의 전통 의식인 '베이컨의 심판'에서 유래했는데 Dunmow의 교회에서는 젊은 부부가 결혼한 뒤 1년 동안 행복했다는 것을 심판받고 행복했던 생활이 증명되면 돼지 반 마리 부는 베이컨을 상으로 주었다고 한다. 베이컨을 받은 부부는 모범적인 사회 구성원의 표상이 되었다는 것이다. 이렇게 유럽에 퍼진 베이컨은 스페인 탐험가에 의해 아메리카 대륙에 퍼지게 된다. 1539년 스페인 탐험가 'Hernando de Soto'가 13마리의 돼지를 아메리카 대륙에 가지고 들어왔고 초기 정착민들뿐만 아니라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돼지 맛에 열광했다. 3년 뒤 'Hernando de Soto'는 별세한다. 하지만 그가 들여온 13마리의 돼지는 이후 잡아먹힌 돼지들 또는 미래의 멧돼지가 되는 도망친 돼지들을 빼고도 3년 만에 700마리로 불어났다고 한다. 이 스페인 탐험가는 현재 아메리카 돼지고기의 아버지라 불린다.
2. 에드워드 버네이스의 베이컨 홍보
베이컨은 미국에서 열광하는 음식이다. 다양한 사례를 통해 찾을 수 있는데 우선 미국에는 '베이컨 데이'가 있다. 공식 기념일은 아니지만 짜장면을 먹는 '블랙데이'와 비슷한 개념인 듯하다. 1997년 친구 사이였던 'Danya Goodman'과 'Meff Leonard'은 '심슨 가족'을 기념하기 위한 특별한 날을 만들고자 베이컨 데이를 만들었다 한다. 심슨 가족 에피소드 중 베이컨에 광적으로 집착하는 호머 심슨에게 밸런타인데이를 기념해 아내 마즈 심슨이 베이컨 요리를 만들어주는데 영문을 모르는 호머 심슨이 '특별한 날이라고? 내가 뭘 잊은 거지? 당황하지 말자! 베이컨 데이? 그건 좀 미친 소리 같고, 마지가 조바심을 내고 있어! 그냥 찍어보자'라고 한 데에서 '베이컨 데이'라는 명칭이 나왔다고 한다. 그뿐만 아니라 미국에는 베이컨 교회도 있다. 1만 3천여 명의 회원을 보유하고 베이컨을 찬양하라는 율법을 지니고 있으며 결혼식도 주최하고 기금 모음도 하고 있다고 한다. 그뿐만 아니라 베이컨 맛 소다, 베이컨 맛 쿠키 심지어 베이컨 치약도 있다고 한다. 또 육가공 업체인 오스카 마이어는 아이폰에 연결할 수 있는 어댑터와 앱을 개발해 아침 기상 시간을 맞춰 놓으면 정해진 시간에 베이컨 굽는 소리와 냄새를 풍기는 알람을 개발하기도 했다. 미국의 이러한 베이컨 열광은 오래된 역사가 아니라고 한다. 베이컨은 1920년대 미국의 급속도로 퍼졌는데 이는 PR의 아버지라 불리는 '에드워드 버네이스'의 역할이 주요했다. PR은 'Public Relations', 즉 홍보를 의미한다. 에드워드 버네이스는 정신 분석의 창시자인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조카였고 프로이트의 영향을 많이 받아 대중심리학에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을 결합하여 홍보에 이용했다. 당시만 해도 베이컨은 미국인들에게 그리 알려진 음식이 아니었으며 미국인들은 간단한 아침 식사를 즐겼다고 한다. 이때 한 베이컨 회사가 에드워드 버네이스에게 자문을 요청했고 그는 권위의 과학을 통해 홍보를 진행했다. 내과 의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내과 의사들은 든든한 아침 식사를 선호한다'는 뉴스 기사를 게재하였고 동시에 '베이컨과 달걀이 중요한 아침 식사 메뉴 중 하나인'이라는 기사를 배치했다고 한다. 내과 의사들이 직접 베이컨이 아침 메뉴로 좋다는 말은 한 적이 없지만 이러한 트릭을 통해 의사들이 든든한 아침 식사를 중요시하고 이때 든든한 아침 식사는 '베이컨과 달걀'이라는 인식을 만들어내 베이컨 열풍을 불러일으킨 것이다. 이러한 홍보 방식은 지금은 흔한 것 당시에는 홍보라는 것이 단순 광고에 불과했으며 권위의 과학이라는 심리를 접목한 것은 그가 최초였다고 한다.
'A'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을 대표하는 고기 삼겹살 (0) | 2023.02.02 |
---|---|
인류가 최초로 먹었던 생선 중 하나인 연어 (0) | 2023.02.01 |
우리가 즐겨먹는 햄버거의 기원 (0) | 2023.01.31 |
인류가 달걀을 선택하게된 이유 (0) | 2023.01.30 |
인도의 음식 카레의 기원과 어원 (0) | 2023.01.30 |
댓글